웹 페이지 로딩이 오래 걸리거나 유튜브 영상이 자꾸 멈춘다면, 인터넷 속도가 느려졌다는 신호입니다. 특히 와이파이 환경에서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요, 지금부터 인터넷 속도 저하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7가지로 정리해드립니다.
1. 인터넷 속도 측정부터 하세요
문제 해결의 첫 단계는 현재 속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.
다운로드, 업로드, 지연시간(ping) 수치를 확인하세요. 일반 가정 기준, 다운로드 속도는 최소 100Mbps 이상이 바람직합니다.
2. 공유기 위치 점검
공유기는 집 중심부, 탁 트인 곳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. 벽이나 전자제품 근처, 바닥에 놓여 있다면 신호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3. 주파수 대역 변경 (2.4GHz ↔ 5GHz)
와이파이 공유기는 보통 2.4GHz와 5GHz를 지원합니다.
- 2.4GHz: 도달 거리 길지만 간섭 많음
- 5GHz: 속도 빠르나 벽 투과력 약함
가까운 거리에서는 5GHz를, 벽이 많거나 멀리 있는 방에서는 2.4GHz를 사용해보세요.
4. 사용 중인 기기 재부팅
노트북, 스마트폰, 공유기 모두 오랫동안 켜져 있으면 메모리 누수나 발열 문제로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. 모든 장치를 껐다가 다시 켜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5.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확인
PC나 스마트폰에서 백그라운드로 업데이트나 동기화가 진행 중일 경우 전체 네트워크 속도를 점유할 수 있습니다. 불필요한 앱은 종료하세요.
6. 펌웨어 및 드라이버 업데이트
-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펌웨어 업데이트
- PC/노트북의 무선랜 드라이버 최신 버전 설치
구형 공유기일수록 펌웨어 미지원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.
7. 통신사 고객센터 문의
위 방법으로도 해결이 안 된다면, 통신사에 지연 시간(ping) 문제나 회선 점검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 일부 지역에서는 기지국 간섭, 아파트 공동 망 등 외부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.
인터넷 속도 저하는 하드웨어 문제뿐만 아니라, 네트워크 환경과 설정 문제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위의 7가지 방법을 차례대로 점검해보면 대부분의 속도 문제는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